-
[ 목차 ]
2025년 4월 경남 하동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4시간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산불 원인, 대응 상황, 산불예방요령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
1. 2025년 경남 하동 산불 개요
2025년 4월 7일 낮 12시 5분, 경상남도 하동군 옥종면 회신리 야산에서 산불이 발생했습니다.
당시 건조한 날씨와 간헐적인 강풍으로 인해 불길은 빠르게 확산됐고, 70헥타르(ha)의 산림이 산불영향구역으로 확인됐습니다. 전체 화선은 5.2km에 달했습니다.
2. 산불현황 및 진화과정
산불은 약 24시간 만인 4월 8일 낮 12시에 주불 진화가 완료되었으며, 현재는 잔불 정리 작업이 진행 중입니다.
산림청과 하동군 등 산림 당국은 1단계(오후 1시 45분)에서 2단계(오후 3시 30분)로 산불 대응 수위를 격상하며 대응했습니다.
📌 산불진화 투입 자원 요약
항목 | 투입 수량 |
산불진화 헬기 | 36대 |
산불진화차 및 장비 | 72대 |
진화 인력 | 753명 (야간에도 500명 이상 투입) |
진화율 변화 | 오후 1시 40% → 오후 7시 87% → 오후 11시 99% |
3. 주요 피해 상황 요약
- 인명 피해: 70대 남성 1명 양손에 2도 화상
- 주민 대피: 7개 마을 506명 긴급 대피 (현재 전원 귀가 완료)
- 산림 피해면적: 약 70헥타르
- 추정 원인: 예초기 작업 중 불씨 발생 → 자력 진화 시 화상
❗ 산림청은 이번 산불이 지난 대형 산불의 재발화가 아닌 별개의 화재로 판단하고 있습니다.
산림청
산림청
www.forest.go.kr
4. 산불 예방요령 정리
건조한 봄철, 산불은 작은 불씨 하나로도 대형 피해를 낳습니다. 아래는 꼭 숙지해야 할 산불 예방수칙입니다.
✅ 산불 예방 10계명
1. 입산 시 라이터·성냥 소지 자제
2. 산림 인근에서 쓰레기 소각 금지
3. 논·밭두렁 태우기 금지
4. 야외 바비큐나 모닥불 피우지 않기
5. 차량에서 담배꽁초 버리지 않기
6. 산림 근처에서 화기 사용 절대 금지
7. 캠핑 시 불씨 완전 소화 후 귀가
8. 드론·풍등 날리기 금지
9. 산불 위험 경보 시 입산 자제
10. 노약자 및 어린이 산행 시 각별한 주의
※ 특히 예초기·농기계 작업 시 금속 마찰로 불씨 발생 가능성 매우 높습니다!
5. 산불신고 및 대응 요령
산불은 빠른 신고와 초동 대응이 관건입니다. 아래 절차를 참고해 즉시 조치하세요.
📞 산불 신고는 119 또는 042-481-4119 (산림청)
🧯 산불 발생 시 대처법
- 바람을 등지고 낮은 자세로 신속히 이동
- 연기가 심할 땐 코와 입을 젖은 수건으로 가리기
- 되도록 넓고 평탄한 곳(도로, 논 등)으로 대피
- 주민 대피령 시, 긴급 대피소 위치 즉시 확인
💡 산불이 잦은 지역은 사전에 가족 대피 계획을 세워두는 것도 좋습니다.
이번 하동 산불은 인명피해가 크지 않아 다행이지만, 자연과 마을에 남긴 상처는 오래갑니다.
최근 기후변화로 산불 발생 위험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봄철 건조기에는 전국 어디서든 산불이 일어날 수 있습니다.
🔥 지금 이 순간에도 산림청 실시간 산불현황 지도에서는 전국의 산불 발생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는 더 이상 '내 일이 아니야'라고 말할 수 없습니다.
예방이 곧 최고의 산불 대응입니다.
이 콘텐츠는 산림청 공식 발표 및 현장 기사 기반으로 작성되었습니다.
재난 시엔 반드시 관할 지자체 및 산림청 안내에 따라 행동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