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최대 9%대 금리 실화? 예. 적금 금리가 떨어지면서 2025 청년도약계좌의 인기가 뜨겁습니다. 특히 올해부터는 모든 소득 구간에서 기여금 매칭 한도(월 40만/50만/60만 원)를 납입 한도(월 70만 원)까지 확대하고 해당 구간에는 매칭 비율 3.0%의 기여금을 추가로 지급합니다.
2025 청년도약계좌 최대 9% 이자
이에 따라 만기 시 은행 이자와 정부 기여금, 비과세 혜택등을 도하면 연 최대 9.54%의 일반 적금상품에 가입한 것과 동일한 수익률을 얻게 됩니다.
연봉 2400만 원 이하 가입자가 월 70만 원씩 5년간 납입(총 4200만 원)하면 5061만 원을 가져갈 수 있는 것입니다. 위 표에서와 같이 2025년에 정부가 월 최대 기여금을 기존 2만 4000원에서 3만 3000원으로 늘린 것도 청년도약계좌 인기에 한몫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기존에는 5년 동안 계좌를 유지하지 못하면 기여금을 모두 환수했지만 올해부터는 2년 이상 계좌를 유지했으면 납입 원금의 40% 이내에서 부분 인출도 할 수 있습니다. 이외에도 신용점수 가점, 청년주택 드림 청약통장과의 연계 강화 등으로 청년들의 가입을 독려하고 있습니다.
신청기간 및 조건
청년도약계좌는 11개 취급은행의 모바일 앱을 통해 비대면으로 신청할 수 있습니다. 취급은행은 NH농협, 신한, 하나, 우리, IBK기업, KB국민, 부산, 광주, 전북, 경남, 대구은행입니다.
■ 신청 기간
3월 4일(화)~14일(금) (매월 초 신청 접수)-- 신청 기간 내에 신청하지 않으면 다음 달로 연기되므로, 기간을 꼭 지켜주시기 바랍니다.
■ 가입 조건
연령: 만 19세~34세 청년
소득: 연소득 7,500만 원 이하(종합소득금액 6,300만 원 이하)
■ 서류 정확성 :제출하는 서류는 정확하고 최신의 것이어야 합니다. 허위 정보 제출 시 불이익을 받을 수 있습니다.
심사를 맡은 서민금융진흥원에 따르면, 청년도약계좌 조건 가운데 소득 기준 확인 과정이 필요한 만큼 가입 신청 후 금융회사를 통해 자격 적합 여부가 검증됩니다. 혼인이나 출산 등 특정 사유로 중도해지를 해도 불이익을 크게 줄이는 방향으로 설계되어 있으며, 3년 이상 유지 시 중도해지 하더라도 연 7% 후반대 수준의 수익을 보전받을 수 있는 방안도 마련되었다고 합니다.
청년도약계좌 계산기
청년들의 미래 설계가 점차 복잡해지는 흐름 속에서, 정부가 도입한 청년도약계좌는 장기적 저축 습관을 돕는 동시에 세제 혜택도 받을 수 있어 가입자가 계속 확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가까운 시일 내에 가구 구성, 소득 수준 등을 확인해 자격 요건을 갖췄다면, 자신에게 맞는 금융 전략을 세워보는 것도 하나의 방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