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목차 ]
2025년 4월 29일 대구 북구 함지산에서 산불이 재발화되었습니다. 260ha를 태운 초기 산불 이후 재점화된 상황과 소방 당국의 대응, 주민 주의사항까지 상세히 정리했습니다.
1. 함지산 산불 재발화 개요
2025년 4월 29일 오후 7시 31분, 대구 북구 구암동 함지산 일대에서 산불이 부분적으로 재발화했습니다. 이 지역은 하루 전인 4월 28일에도 산불이 발생하여 260헥타르(㏊)의 산림이 피해를 입었던 곳입니다. 주불은 약 23시간 만에 진화되었으나, 남은 잔불과 기온·풍속 변화 등으로 인해 산불 재점화가 이루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2. 재발화 지점과 현재 상황
이번 산불은 함지산 백련사 방면 7부 능선에서 정상 방향으로 약 30m 구간에서 발생했으며, 불띠가 형성된 상태입니다. 산불의 위치는 접근이 쉽지 않은 고지대이기 때문에, 야간 진화 활동에는 제한이 있습니다.
📌 재발화 지점
위치: 대구 북구 구암동 함지산 내 백련사 인근
규모: 약 30m 길이의 불띠
발화 시간: 2025년 4월 29일 오후 7시 31분경
하동 산불현황: 24시간만에 진화, 산불예방요령 숙지하세요!
2025년 4월 경남 하동에서 발생한 산불이 약 24시간 만에 진화되었습니다. 산불 원인, 대응 상황, 산불예방요령까지 한눈에 정리했습니다.1. 2025년 경남 하동 산불 개요2025년 4월 7일 낮 12시 5분, 경
editor100djr.tistory.com
3. 소방 당국의 대응 현황
대구소방안전본부와 북구청은 산불 진화를 위해 인력과 장비를 총동원 중입니다.
진화 인력: 55명
장비 투입: 소방차 등 총 16대
항공 진화 계획: 산림청 헬기 4월 30일 일출과 동시에 투입 예정
일몰 이후에는 헬기 투입이 불가능하여 현재는 지상 진화 위주로 진행 중입니다. 북구청 관계자는 “현재 산불이 크게 번지고 있는 단계는 아니며, 통제 가능한 수준”이라고 밝혔습니다.
이번 산불은 지역 주민들의 신속한 신고로 빠르게 확인됐습니다.
- 신고 건수: 오후 8시 20분 기준, 총 78건
- 주민 목격 내용: 함지고 뒤편 함지산 일대에서 불길이 보였다고 증언
주민들은 지난 산불로 인해 긴장감이 높은 상황이었고, 재발화된 불길이 포착되자마자 즉각 신고를 진행했습니다. 이는 조기 진화 대응에 큰 도움이 되었습니다. 산불은 초기에 잡아야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주민들의 관찰력과 신속한 대응은 지역 안전의 핵심입니다.
4. 산불 재발 원인 가능성과 유의사항
이번 재발화의 원인으로는 다음과 같은 가능성이 제기됩니다.
원인 요소 | 설명 |
🔥 잔불 미처리 | 초기 진화 시 완전 연소되지 않은 나뭇가지 등에서 재점화 가능성 |
🌬 바람 및 기후 변화 | 야간 기온 상승과 돌풍 등으로 불씨 확산 가능성 |
🧍 인위적 요인 | 입산자 또는 인근 지역 활동에 따른 불씨 발생 가능성 |
🌲 유의사항
등산객 및 주민은 산불 발생지역 출입을 삼가 주세요.
입산이 통제된 지역에서는 절대 취사·흡연 금지
바람이 강한 날에는 불씨 관리 각별히 주의
현재까지 큰 확산 없이 통제되고 있으며, 내일 산림청 헬기 투입 후 완전 진화가 예상됩니다.
헬기 투입 시점: 4월 30일 새벽 일출 이후
진화 완료 예상 시간: 30일 오전 중
하지만, 야간 기온 변화와 돌풍이 변수로 작용할 수 있어 긴장을 늦추기는 이릅니다. 소방 당국은 전날 산불을 교훈 삼아 철저한 감시와 진화 체계를 가동 중입니다. 진화 이후에도 감시 활동을 수일간 지속할 예정입니다. 완전 진화 후에도 재점화 방지를 위한 순찰이 계속됩니다.
대피 요령
- 산불이 근접할 경우 119 및 112로 신고
- 대피 시 바람 반대 방향으로 신속히 이동
- 야간에는 주변이 어두우므로 이동로 확인 필수
- 화재가 꺼졌더라도 불씨가 남아 있을 수 있으므로 접근 금지
함지산 산불 재발화 사례는 잔불 관리와 감시의 중요성을 다시금 일깨워주는 사건입니다. 특히 봄철은 건조하고 바람이 잦아 산불 재점화 가능성이 매우 높은 시기입니다.
지역 주민들과 등산객의 경각심, 신속한 신고, 당국의 체계적인 대응이 하나로 뭉칠 때, 우리의 산림과 생명을 지킬 수 있습니다.
🌿 이번 산불이 무사히 진화되기를 기원하며, 향후에도 산불 예방과 빠른 대응이 계속 이어지길 바랍니다.